Paris-Roubaix
Paris-Roubaix
Paris-Roubaix는 1일 프로 자전거 로드 경기 중 하나로 프랑스 북부 지방에서 열린다. 출발점은 Compiegne이며, 결승점은 벨기에와의 국경 부근인 Roubaix이다. 과거에는 10개의 URI Road World Cup 중 3번째 였으며, 현재는 UCI ProTour에 속해 있다(역주. 2008년의 경우 ASO와 UCI의 분쟁으로 인해서 UCI ProTour에서 빠진 상태입니다). Paris-Roubaix는 'Monuments' 또는 유럽 프로 사이클의 클래식 중 하나이며, 북의 지옥(The Hell of the North), 클래식의 여왕(Queen of the Classics), 부활절 경기(La Pscale, Easter Race) 등으로 불려진다.
1. 역사
Paris-Roubaix는 프로 로드 경기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경기 중 하나이다. 1896년 최초로 열렸으며, 그 이후 2차 대전 중 2번만을 제외하면 매해 열렸다. Roubaix의 타일 제조업자인 Theo Vienne와 Maurice Perez가 그 당시 아주 유명했던 Bordeaux-Paris 같은 경기가 되길 바라면서 만들었다. 두 사람은 스포츠 신문인 Le Velo지의 편집장인 Paul Rousseau에게 자신들의 생각을 말했고, 그는 기자 중에 Victor Breyer를 보내서 파리와 Roubaix 사이의 경로를 살펴보고 생각하게 했다.[2]
첫번째 경기는 1896년 4월 19일에 열려서, La Pascale(부활절)이라는 별명을 얻게 됐다. 총 188명의 출전자들이 파리의 Boix de Boulogne 공원에서 출발하여 Roubaix까지 대략 300Km를 달렸다.[3] 최초 대회 우승자인 Josef Fischer은 1,000프랑의 상금을 받았다. [4]
현재는 미디어 그룹인 Amury Sport Organization이 주최하며, 매년 4월 중순의 비가 많이 오는 철에 열린다. 부활절, 프랑스 북부 광산 지역의 자갈길과 심하게 패인 노면은 선수들의 코끝에서 발끝까지 진흙과 먼지로 덮어 버린다. 그러나 북쪽의 지옥(l'enfer du Nord,Hell of the North)라 불리게 된 이유는 다른 이유에서였다. 처음으로 이런 별명을 가지게 됐던 때는 1차 세계 대전 직후 부터였다. 경기 코스는 전쟁의 전선 바로 옆이었으며, 폐허, 폭탄 구멍, 잔해들이 널려 있는 지역을 지났다. 그래서 기자들은 북쪽의 지옥(l'enfer du Nord,Hell of the North)이라는 이름을 붙였다.[5]
처음에는 코스가 파리에서 Roubaix까지였지만, 1966년 출발지가 파리 북쪽 50Km에 위치한 Chantilly로 옮겨지고, 1977년에는 다시 파리 북쪽 80Km에 위치한 Compiegne로 옮겨졌다.[6] Paris-Roubaix의 코스는 거친 지형으로 유명한 경기의 특징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오래된 도로가 새로 포장될 경우 대체할 다른 힘든 자갈길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매년 약간씩 변경된다. 2005년의 예를 들면, 경기 코스중 자갈길은 54.7Km였다.[7] 아이러니하지만, 경기의 결승점은 Roubaix에 위치한 대형 야외 벨로드롬의 750m 길이의 매끄러운 콘크리트 광장에서 끝난다.
1964년 이후의 최고 속도는 독일 선수인 Peter Post가 세운 45.129Km였다. 최다 우승자는 벨기에 선수인 Roger De Vlaemick로, 1972년과 1977년 사이에 4회 우승하였다(그가 받은 트로피는 포장에 쓰이는 돌 모양이다).

2005년 20번 자갈길 구역에서 큰 사고가 발생하였다. 일부 라이더가 고속에서 진흙 무더기에서 넘어졌고, Peloton 전체로 사고가 전파되었다.
1949년 Paris-Roubaix는 우승자가 결정되는데 몇 달이 걸렸으며, 두 번의 국제 재판이 열렸다. Andre Mahe가 결승점을 먼저 통과했지만, 코스를 잘못 돌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Mahe는 치고 나간 3명의 선두 팩에 속하여 Roubaix 벨로드롬에 도착했지만, 몇 분후 제대로 된 코스로 도착한 다른 선수들이 도착했다. 유명한 Fausto Coppi와 형제였던 Serse Coppi가 낮은 순위로 생각했던 스프린트에서 승리하였다. 공식 항의가 있은 몇 달 후에, Serse Coppi와 Andre Mahe가 공동 우승자가 됐다.
2. 자갈길에서 열리는 경기
Paris-Roubaix는 벨기에에서 열리는 다른 유명한 자갈길 경기인 Ronde Van Vlaanderen(Tour of Flanders)와 비교되곤 한다. 두 경기의 코스는 약간 다른 데, Paris-Roubaix는 약간 더 평탄하고 기술이 좀더 필요하다. Paris-Roubaix는 자갈길 구역 번호로 경기 진행 상황을 알리고, 자갈길 언덕이 많은 Ronde van Vlaanderen은 Koppenberg 같은 언덕 이름을 사용한다.
"자갈길 클래식(cobbled classics)"으로 불리는 Paris-Roubaix와 Ronde van Vlaanderen외에 Het Volk나 Getn-Wevelgem 같은 세미 클래식 봄철 자전거 경기가 자갈길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Paris-Roubaix와 Ronder van Vlaanderen을 같은 해에 우승한 선수들
- 1923 Henri Suter 스위스
- 1932 Romain Gijssels 벨기에
- 1934 Gaston Rebry 벨기에
- 1954 Raymond Impanis 벨기에
- 1957 Fred De Bruyne 벨기에
- 1962 Rik Van Looy 벨기에
- 1977 Roger De Vlaeminck 벨기에
- 2003 Peter Van Petegem 벨기에
- 2005 Tom Boonen 벨기에
3. 코스 설명
260Km의 경기는 Compiègne에서 출발하여, Roubaix를 향해 북쪽을 따라 구불거리는 경로를 따라간다. 첫번째 자갈길 구역은 대략 100Km이후이다. 1977년에서 2004년까지, 코스는 위험한 Wallers-Arenberg 숲을 통과하였다. 이 코스는 대략 166Km 정도에 위치하며, 1968년 더 많은 자갈길 코스를 찾던 조직 위원장 Jacques Goddet가 이 코스를 처음으로 채택하였다.[8] 1998년까지는 Arenberg로 접어드는 진입로가 약간 내리막이어서, 펠로톤에서 좋은 위치를 잡기 위하여 스프린트가 일어났다. 그러나, 1999년 Arenberg로 접어드는 펠로톤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 코스 방향이 반대로 바뀌었다. 이는 1998년에 월드컵 1위였던 Johan Museeuw가 당한 끔찍한 사고 때문이었다. 이 사고로 Museeuw는 다리가 괴사하였다.[9] 2005년 대회 조직위는 Trouée d'Arenberg(Arenberg 도랑) 전체가 안전을 담보할 수 없을 정도 상황에 이르렀다고 발표하면서, 코스에서 빠졌다. Arenberg 지역은 이전에 석탄 채광 지역으로, 버려진 탄광 때문에 도로의 많은 부분이 침하하는 중이었다. 보수를 마친 2006년과 2007년에는 다시 이 구간이 경기에 포함되었다.
대회 조직위는 길이, 자갈길의 불규칙성, 각 구간의 전체 상태, 위치 등을 고려하여 자갈기 구간마다 난이도를 부여하였다.[10] 2007년 Paris-Roubaix에서는, 28개의 자가길 구간이 존재하였으며, 3 구간이 최고 난이도가 부여되었다. Arenberg 도랑 외에 어려운 구역으로는Mons-en-Pévèle의 3000m(213Km에 위치))와 마지막 1Km에 위치하여 승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때가 많은Le Carrefour de l’Arbre의 2000미터(244Km에 위치)가 포함된다.Paris-Roubaix의 28개 자갈길 코스는 다음과 같다. [11]
구간 번호 | 이름 | 위치(Km) | 길이 (m) | 등급 |
---|---|---|---|---|
28 | Troisvilles | 98 | 2200 | 3 |
27 | Viesly | 104 | 1800 | 3 |
26 | Quievy | 106,5 | 3700 | 4 |
25 | Saint-Python | 111,5 | 1500 | 2 |
24 | Vertain | 119 | 1900 | 3 |
23 | Capelle-sur-Ecaillon - Le Buat | 126 | 1700 | 3 |
22 | Verchain-Maugré - Quérénaing | 138 | 1600 | 3 |
21 | Querenaing - Maing | 141 | 2500 | 3 |
20 | Monchaux-sur-Ecaillon | 144 | 1600 | 3 |
19 | Haveluy | 155,5 | 2500 | 4 |
18 | Trouée d'Arenberg | 163,5 | 2400 | 5 |
17 | Wallers - Hélesmes | 170 | 1600 | 4 |
16 | Hornaing - Wandignies | 176,5 | 3700 | 3 |
15 | Warlaing - Brillon | 184 | 2400 | 4 |
14 | Tilloy - Sars-et-Rosières | 187,5 | 2400 | 3 |
구간번호 | 이름 | 위치(Km) | 길이(m) | 등급 |
13 | Beuvry-la-Forêt - Orchies | 194 | 1400 | 3 |
12 | Orchies | 199 | 1700 | 3 |
11 | Auchy-lez-Orchies - Bersée | 205 | 1200 | 2 |
10 | Mons-en-Pévèle | 210,5 | 3000 | 5 |
9 | Mérignies – Pont-à-Marcq | 216,5 | 700 | 2 |
8 | Pont-Thibaut | 219,5 | 1400 | 3 |
7 | Templeuve l’Epinette Le Moulin de Vertain |
225 225,5 |
200 500 |
1 2 |
6 | Cysoing - Bourghelles Bourghelles - Wannehain |
232 234,5 |
1300 1100 |
4 4 |
5 | Camphin-en-Pévèle | 239 | 1800 | 4 |
4 | Le Carrefour de l’Arbre | 242 | 2100 | 5 |
3 | Gruson | 244 | 1100 | 2 |
2 | Hem | 251 | 1400 | 1 |
1 | Roubaix | 257,5 | 300 | 1 |
4. Paris-Roubaix의 자전거들

사이클로크로스에 채용된 많은 수정 사항들을 따온다. 예를 들면 더 넓은 타이어, 캔틸레버 브레이크, 듀얼 브레이크 레버를 사용한다. 많은 팀들은 지원 차량이 갈 수 없는 곳에서 장비 고장이 일어날 경우에 대비해서 코스를 따라서 여벌의 휠과 장비, 심지어는 자전거를 소지한 다양한 지원 인력을 배치하기도 한다.
일부 정상급 선수들은 자갈길에서 안정성과 편안함을 얻기 위해서 Paris-Roubaix의 가혹한 라이딩 환경에 최적화된 특별한 프레임을 받기까지 한다. 라이더에게 편안한 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소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2005년 겨울, Tom Boonen은 휠베이스가 더 긴 전용 TIME 프레임을 사용하였다. 같은 대회에서, George Hincapie는 시트 스테이의 맨 위쪽에 2mm의 작은 고무 재질을 삽입한 프로토타입 프레임을 사용하였다. 제작사는 이 고무 재질이 자갈길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충격을 흡수한다고 주장하였다. 2006년 대회에서 Hincapie의 Trek 자전거는 문제가 있었다. 알루미늄으로 된 스티어러 튜브가 대략 46Km 지점에서 부러져, 넘어졌으며, 어깨 부상을 입어 기권하였다.
나쁜 도로 상황으로 인해 잦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며, 그 때문에 높은 순위에 있던 많은 선수들이 뒤쳐지기도 한다. 최근 몇 년간에는 소속에 상관 없이 필요한 사람에게 새 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중립 기술 지원 오토바이가 선수들의 바로 뒤를 따른다. 서비스 편에는 4대의 오토바이와 4대의 기술 지원 차량이 존재한다. [12]
5. 영화
6. Paris-Roubaix에 대한 다양한 말들
- "말하자면, Flanders와 Paris-Roubaix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전혀 다르다 . 한 군데는 자갈길에 매일 차가 다니고,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고, 메꿔진다. 다른 곳은 완전히 다르다. 아마도 이렇게 설명하면 가장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선수들이 먼지가 날리는 도로를 헤치고 나가고, 헬리콥터가 그 위를 날아가면, 헬리톱터 쪽에서 수많은 돌들이 날아온다. 그게 Paris-Roubaix다. 아주 나쁘며, 우습기까지 하다." - Chris Horner[1]
- "이 경기는 내가 항상 꿈꾸던 경기이며, 내내 기다렸던 경기이다." - 여러 인터뷰에서 George Hincapie.
- "Paris-Roubaix에서 어택할 때는 생각할 필요가 없다. 결과가 모두 드러나는 데는 5분도 안 걸린다. 그 순간에 옳다고 느끼는 것을 하기만 하면 된다." - Cycle Soprt Magazine에서 한 Johan Museeuw의 인터뷰
- 매년 봄의 축제에 수천명의 사람들이 자신들의 영웅을 응원하기 위해 도로을 따라 늘어서 있다. 응원의 외침을 울려대며, 가끔은 그들이 승리하게 돕기까지 한다. 선수들은 오래된 명예와 영광을 꿈꾸며 과거의 전설을 따라 달린다. 유혈 낭자한 전사들이 자전거가 아닌 소달구지에나 어울릴 듯한 도로 위를 빗 속에서, 추위 속에서, 진흙 속에서 싸워 나간다. 승자는 도로 경기의 위대한 선수라는 자리에 영예롭고 불멸의 자신만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1896년 이래로, 역대 가장 위대한 자전거 선수들은 이런 약만적이고 아름다운 광경에서 자신의 영혼을 시험하러 왔다." CBA Sports, 1987.
- "이 경기는 내가 최고조에 있을 때는 나에게 딱 맞는 경기다. 반면, 강한 다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 세상에서 최악의 장소일 것이다." - Jo Planckaert, 2004
7. 참고 문헌
- ^ I'm talking total cobbles. www.guardian.co.uk (5 April 2006).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 ^ The real Hell of the North. www.cyclingnews.com (16 April 2006). Retrieved on 5 September 2007.
- ^ Paris-Roubaix 1998. uci.ch (12 April 1998). Retrieved on 10 September 2007.
- ^ a b 102nd Paris Roubaix Preview. www.dailypeloton.com (9 April 2004).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 ^ WWIII: La Trouée d'Arenberg is back. www.cyclingnews.com (9 April 2006).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 ^ Roubaix @ Roubaix - Specializing in cobbles. www.cyclingnews.com (21 June 2006).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 ^ Paris-Roubaix 2005. www.letour.fr (4 April 2005). Retrieved on 5 September 2007.
- ^ Tales from the pavé on the road to Roubaix. www.cyclingnews.com (11 April 2004).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 ^ A Bike Racer's Road to Recovery. www.iht.com (1 March 1999).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 ^ A New King for the Queen of Classics?. www.letour.fr (10 April 2007).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 ^ 52,7 Km of cobblestones: The notes. www.letour.fr (9 April 2007).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 ^ Special Rules. www.letour.fr (2007). Retrieved on 1 September 2007.
8. 읽어볼만한 책
- Philippe Bouvet, Pierre Callewaert, Jean-Luc Gatellier, Laget Serge: Paris-Roubaix: A Journey Through Hell (ISBN 1934030090), VeloPress. The inside story of the race, its great riders, its traditions, and its secrets
9. 우승자
=====
저작권 : 이 글은 Wikipedia의 글(http://en.wikipedia.org/wiki/Paris-Roubaix )을 HanDDol이 번역한 글입니다. 이 글의 URL은 http://cyclingpedia.tistory.com/entry/ParisRoubaix 입니다. 옮기실 때는 저작권 관련 부분을 지우지 마시고 옮겨주시기 바랍니다.
관련된 다른 문서의 전체 목록
- http://cyclingpedia.tistory.com/entry/CyclingPedia
문서의 이력
- 처음 번역 : 2006. 9. 1
- 개정에 따른 재수정 : 2008. 2. 4